건물 휘감은 연기 서울 관악구 봉천동에 있는 아파트가 21일 농약분무기에 인화물질을 담아 분사한 방화로 화재가 발생해 검은 연기에 휩싸여 있다. 불은 아파트 4층에서 발생했으며 방화 용의자는 현장에서 사망하고 주민 11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연합뉴스 봉천동 방화 사전 준비 정황 ‘가족들에 미안’ 유서 남겨 경찰, 다른 동기 가능성 수사 60대 남성이 자신이 살았던 아파트에서 농약분사기를 이용해 불을 지른 뒤 사망했다. 70~80대 여성 2명이 불길을 피하려다 창밖으로 추락해 중상을 입었다. 이웃들은 이 남성이 위층 주민들과 층간소음으로 갈등을 빚었다고 했다.서울 관악경찰서와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21일 오전 8시17분쯤 관악구 봉천동의 한 아파트에서 화재 신고가 접수됐다. 불은 약 1시간 뒤인 오전 9시25분쯤 모두 꺼졌지만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중상, 9명이 경상을 입었다.불이 난 곳은 21층 높이 아파트로 단지 내에서 고령자나 저소득층이 주로 사는 임대아파트 동이었다. 화재는 4층에서 시작됐다. 4층 집 두 채에서 창밖으로 불길이 치솟았고, 유리창이 터져 폭발하는 소리가 났다. 한 목격자는 “눈이 내리듯 유리조각이 쏟아지고 15m 떨어진 놀이터까지 날아갔다”고 전했다.경찰 조사에 따르면 불은 60대 남성 A씨가 인화물질을 넣은 농약분사기를 이용해 방화하면서 일어났다. A씨는 401호와 404호의 복도 방향으로 난 창문을 깨고 집 안에 불을 지른 것으로 추정된다. 불이 난 두 채에 살던 70~80대 여성 두 명은 각각 창문에 매달려 있다가 추락해 중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됐다. 당시 상황을 맞은편 동에서 지켜본 주민 김모씨는 “난간에 한 사람이 매달려 있었고 두 채 옆의 집 창밖에도 매달려 있다가 추락한 사람이 있었다”고 했다.불이 꺼진 뒤 4층 복도에서는 불에 타 숨진 시신이 발견됐다. 경찰은 폐쇄회로(CC)TV 영상과 지문 등을 분석해 변사체가 방화자인 A씨의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A씨 소유의 오토바이를 발견했다. 오토바이에는 인화물질이 담긴 기름통 2개가 21일 오후 대구 근교 5일장으로 유명한 반야월종합시장을 찾은 시민들이 싼 값에 채소류를 사기 위해 북적이고 있다. 권영진 기자 봄 날씨가 완연한 21일 오후 반야월종합시장을 찾은 시민들이 상추 등 모종을 구경하고 있다. 권영진 기자 "최근 경북지역 대형산불 피해로 농산물 가격이 엄청 올랐는데, 집 근처에 있는 반야월 5일장에 와보니 대형마트보다 가격이 저렴해 저절로 손길이 가네요." 대구 동구 안심뉴타운에 사는 주부 김주은(32)씨는 21일 오후 자녀와 함께 5일마다 열리는 반야월종합시장을 찾아 다양한 채소류를 장바구니에 담았다. 이날 오후 2시께 찾아간 반야월종합시장은 평일임에도 불구하고, 김씨처럼 장을 보러온 시민들로 북적였다. 반야월종합시장은 1일과 6일마다 열리는 5일장으로, 대구 근교에서는 유명한 전통시장이다. 이날도 장터는 장을 보러온 고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시장 안으로 들어갈수록 쑥, 두릅, 돈나물, 머위, 엄나무순, 방풍나물 등 봄철 산나물을 쉽게 볼 수 있었다. 또한 봄 농사철을 맞아 상추 등 채소류 모종을 찾는 시민들의 모습도 많았다. 뿐만 아니라 양파, 당근, 마늘, 상추 등 대표적인 채소류는 대형마트보다 저렴한 가격에 판매되고 있었다. 여기에다 소비자와 상인이 벌이는 흥정소리도 들려 전통시장 만이 가질 수 있는 정겨운 분위기도 곳곳에서 연출됐다. 날씨가 더운 탓에 한 손에는 아이스 아메리카노 대신, 전통시장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수제 감주와 우뭇가시리가 담긴 잔을 든 채 장터를 누비는 시민들도 눈에 띄었다. 이날 파와 마늘 등 직접 기른 채소를 팔기 위해 장터에 나온 최복순(72) 할머니는 "장기화된 국정 공백과 불경기 탓에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그래도 5일장이 열리는 날마다 채소를 팔러 나오면 손님이 몰려드는 바람에 힘이 솟는다"고 미소를 지었다. 이처럼 5일장에 시민들의 발걸음이 이어지는 이유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다양한 채소류를 싼 가격에 직거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식구 수에 알맞게 양을 조절해서 살 수 있으며, 흥정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