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 수가 두달 연속 2만명을 넘으며 전국
출생아 수가 두달 연속 2만명을 넘으며 전국적인 반등세를 보였지만, 제주지역 인구는 여전히 줄고 있습니다.특히 저출생 고령화 문제가 심각한데요,내년엔 65세 이상 노인 인구비율이 20%를 넘어설 것으로 에상되고 있습니다.말 그대로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게 되는 것인데,출산율은 해마다 떨어지면서 고령화는 코앞에 닥친 위기, 어떤 대책들이 필요할까요? 신효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리포트)아파트 1층 공간에 마련된 영유아 돌봄시설입니다.자원봉사자 대학생과 이웃 어르신들이 육아에 힘을 보탭니다.지자체가 마련한 이 시설에선 오전 7시부터 자정까지 돌봄이 가능합니다.강원도 인제군에서는 누구나 언제든 20분안에 아이를 맡길 수 있는 무료 돌봄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이은옥/학부모"훨씬 편하죠. 걱정없이 할 수 있으니까. 일을 볼 수 있으니까요. 제가 큰 애도 보내봤고 지금 둘째도 보냈는데요. 좋아요. 프로그램도 잘 돼 있어서."초고령화 사회 진입을 앞둔 제주에서도 돌봄 위주의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습니다.제주자치도의회 저출생.고령화 대책 특별위원회가 전문 기관에 의뢰해 대안 마련에 나섰습니다.우선, 저출생 문제 해소를 위해선 결혼과 임신, 육아 지원을 위한 정보를 통합 제공하고 난임 치료 지원 역시 지원범위를 구체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김홍철/(사)가치잇다 이사장"경제적 지원보다는 실질적인 서비스를 많이 원하더라고요. 예를들면 세대가 함께 할 수 있는 지원, 임산부들이 이동하는데 편리하도록 하는 지원 등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지원을 많이 원하고 있습니다."초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과제로는 경로당이나 주민센터를 중심으로한 건강돌봄서비스와 노인 심리상담을 강화하는 방안과 복합문화체육공간 조성등이 제시됐습니다.김재희/제주연구원 고령사회연구센터장"기존에는 질환을 관리하는 차원의 건강 증진 정책들이 많이 추진됐던 것 같고 그렇기 때문에 예방적인 관점에서 건강증진에 대한 정책이 변화돼야 한다는 내용을 과제에 제안했습니다."특히, 일부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조부모 돌봄 수당을 제주에서도 시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저출산.고령화 대책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됐습니다.이밖에 부서별로 흩어져 있는 저출산, 고령화 관련 정책을 통합하는 일 역시 주요한 과제로 손꼽혔습니다.JIBS 신효은입니다.영상취재 오일령JIBS 제주방송 신효은(yunk98@jibs.co.kr) 오일령(reyong510@naver.com) 기자류희림 방송통신심의위원장이 갑작스레 사의를 표명했다. 국민권익위원회가 류 위원장이 연루된 이해충돌방지법 위반 신고 건을 감사원으로 이첩한 지 나흘 만이다.25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따르면, 류 위원장은 이날 오후 퇴근을 앞두고 일신상의 이유로 그만둔다는 내용이 적힌 사직원을 제출했다.그간 '표적 심의', '이해충돌 위반' 등 여러 논란에도 직을 유지했던 류 위원장이 이날 돌연 사의를 표명한 데에는 최근 권익위가 류 위원장이 연루된 사건을 감사원으로 이첩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류 위원장은 지난 2023년 9월 가족·지인을 동원해 <뉴스타파>의 '김만배·신학림 녹취록' 등을 인용 보도한 방송사들을 겨냥해 방심위 민원을 넣도록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방심위는 민원 접수 후 같은 해 11월 방송사 4곳(MBC·KBS·YTN·JTBC)에 과징금 6건을 부과하기로 의결했다.이후 방심위 직원이 사적 이해관계 정황을 권익위에 신고하면서 류 위원장은 조사 대상에 올랐다. 권익위는 지난 2월 이해충돌방지법 위반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없다"며 종결 처리했으나, 재신고를 받고 지난 21일 이 사건을 감사원에 이첩하기로 결정했다.류 위원장은 2023년 8월 윤석열 대통령 몫 방심위 위원으로 위촉된 데 이어 같은 해 9월 위원들의 호선으로 위원장 자리에 올랐으며, 지난해 7월 연임에 성공했다. 이에 류 위원장의 당초 임기는 2027년 7월까지였다.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야당 위원들은 류 위원장의 사의 표명에 이날 오후 긴급 성명을 내고 "만시지탄"이라며 "혹시라도 도피할 수 있으니 경찰과 법무부는 류 위원장에 대한 출국금지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전국언론노동조합도 이날 입장문을 내고 "도를 넘는 표적 심의와 편파 심의를 통해 방심위를 '언론장악의 첨병'으로 전락시키고, 희대의 민원사주로 방심위의 존립 근거를 뒤흔든 류희림의 퇴진은 늦어도 너무 늦었다"고 했다.그러면서 "방심위 정상화를 위해선 류희림 퇴진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방심위를 통한 언론장악 시도와 민원사주의 내막을 철저히 규명하고
출생아 수가 두달 연속 2만명을 넘으며 전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