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4 기아가 올해 1분기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이 동시에 하락하는 부진한 성적을 거뒀다. 게다가 2분기부터 미국 정부가 부과한 자동차 관세 영향을 본격적으로 받는다. 앞으로의 실적은 지금보다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기아는 올해 1분기 매출액 28조175억원, 영업이익 3조86억원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26조2130억원)보다 6.9% 증가한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이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작년 1분기(3조4260억원)에 비해 12.2% 감소했다. 영업이익률 또한 지난해 1분기 13.1%에서 올해 1분기에는 10.7%로 2.4%포인트 하락했다. 1분기 글로벌 판매량은 77만2648대로 지난해 1분기(76만514대)에 비해 소폭 늘었고 이에 따라 시장점유율도 작년 4.7%에서 4.9%로 증가했다.기아는 “관세 적용을 앞둔 미국 소비자들의 선구매 수요와 인도를 비롯한 신흥시장에서의 판매가 증가하면서 판매량이 소폭 늘어난 데다 하이브리드 등 고부가가치 차종이 많이 팔렸기 때문에 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경신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기아는 영업이익이 감소한 이유에 대해선 “지난해에는 수익성이 좋은 EV9 등 고급차 위주로 판매됐다면 올해 1분기는 대중적인 EV3, 경차 시로스 등을 출시해 이들 차종이 많이 판매됐다”며 “올해 미국 시장에서 특별한 신차 출시가 없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더 많은 인센티브를 제공해야했던 것도 수익성이 약화된 이유”라고 밝혔다.문제는 2분기 이후의 실적이다. 지난 3일 발효된 미국 정부의 자동차 관세 정책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받기 시작했기 때문이다.기아는 “관세 인상에 대비해 재고를 쌓아두긴 했지만 재고를 조금만 가져가자는 게 회사 정책이다 보니 전 세계적으로 2개월 정도 분량의 재고만 남아 있다”며 “5월부터는 본격적으로 미국 관세의 충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기아는 먼저 그동안 캐나다, 멕시코 등으로 수출하던 미국 조지아 공장 생산 물량을 오롯이 미국 내 수 전남도 여객선 [연합뉴스 자료] (무안=연합뉴스) 형민우 기자 = 전남 '천원 여객선' 이용객이 2021년 도입 후 연인원 550만명을 넘어섰다.26일 전남도에 따르면 전국 광역자치단체에서 처음 전남에서 시작한 천원 여객선 운임 지원 사업으로 지금까지 556만2천명이 혜택을 받았다.이 사업은 섬 주민이 여객선을 이용할 때, 운임 중 1천원을 초과하는 금액을 도비와 시·군비로 지원하는 제도다. 예산도 2021년 10억원에서 2022년 30억원, 2023년 36억원, 2024년과 올해는 43억원까지 늘었다.전남에는 전국 65%에 해당하는 2천165개의 섬이 있으며 이 가운데 274개의 유인도에는 15만9천명이 거주하고 있다.섬 주민에게 여객선은 병원 진료, 자녀 교육, 생필품 구매 등 일상을 잇는 '다리'와도 같다. 그러나 여객선의 ㎞당 평균 운임은 387.3원으로, 항공기(214.5원), 고속철도(142.7원), 시외버스(131.8원)에 비해 비싸다.천원 여객선 도입으로 섬 주민들은 이전보다 자유롭게 육지를 드나들 수 있게 돼 호응을 얻고 있다.완도에 거주하는 박모씨는 "예전엔 한 번 육지로 나갈 때마다 왕복 4만∼5만원 운임이 부담이었지만, 이제는 왕복 2천원이면 해결된다"고 말했다.경기도, 전북특별자치도, 경남도, 인천시 등 여러 지자체가 전남의 사례를 벤치마킹해 유사한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전남도는 여객선 운임뿐 아니라 섬 지역 생활 전반의 물류비용 경감을 위해 다양한 지원 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섬 지역 택배 추가 비용 지원(8억원), 생활필수품 해상운송비 지원(10억원), 생필품 물류비 지원(2억원) 등이 대표적이다.섬 주민이 차량과 함께 여객선을 이용하면 운임을 지원하고 있으며 여객선이 기항하지 않는 교통 소외지역에는 별도 항로를 운영하고 있다.전남도는 여객선 준공영제 확대도 정부에 건의할 방침이다. 현재는 5개 지정 항로만 적용되지만, 이를 도 전역의 적자 항로로 넓혀 섬 주민의 안정적 이동권을 보장할 계획이다. 천원 여객선 외에도 일반인 여객선 운임 지원에 대한 국비 지원 건의도 함께 하고 있다.전남도 관계자는 "천원 여객선 운임지원 사업은 단순한 교통비 지원이 아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