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미안원베일리 상가 지하에 한가한 부동산 모습. 홍승희 기자 [헤럴드경제=홍승희 기자] “덩어리만 크지 사실상 가뭄이에요. 매매도, 임차도 시장이 경색됐어요. 매도자와 매수자간 (가격)괴리감이 너무 커요”(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원베일리 상가의 H 부동산 대표)최근 헤럴드경제가 래미안원베일리·아크로리버파크·래미안퍼스티지 등 3대 대장아파트로 구성된 서초구 반포동을 찾은 결과 인근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들은 이른바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 소란’이 한 차례 쓸고 간 뒤부터는 한 달째 “거래가 뜸하다”고 상황을 전했다.2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시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에 있는 아파트 전체를 토지거래허가(토허) 대상으로 지정한 지 34일째인 이날 기준, 서초구에서 그간 계약된 아파트 매매 거래 수는 3건에 불과하다. 이는 같은 강남권인 ▷송파구 44건 ▷강남구 41건보다 월등히 적으며, 주거시설이 상대적으로 적은 용산구(6건)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그마저도 3건 중 2건이 잠원동에서 이뤄졌으며, 한 건은 서초동에서 계약됐다. 사실상 현재 초고가 주택거래를 견인하고 있는 반포동에서는 거래 건수가 ‘0건’인 상황이다.서초구의 거래가 급감한 이유는 무엇보다 매수자와 매수자 간 가격 괴리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앞서 토허제가 일시적으로 해제됐던 당시,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동)의 거래 수가 급증하자 갈아타기 수요가 옮겨가 서초구 반포동의 거래수와 집값도 함께 올랐다. 전용면적 84㎡가 70억원에 손바뀜되며 ‘국민평형 70억’이 현실화한 것도 이때다. 래미안원베일리의 국민평형이 60억원(2024년 9월)에 거래된 지 6개월 만이었다.상가 원베일리스퀘어의 H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매물이 많이 없고, 무엇보다 집주인들도 팔 생각이 없다”며 “국내에서 여기 이상의 상급지가 없다는 생각에 급할 게 없다”고 설명했다. 아파트값이 ‘평당 2억원’으로 굳어진 현재 상황에서 섣불리 계약을 하기 보다는 시장의 향방을 관망하는 움직임이 우세하다는 게 중개자의 설명이다.이 대표는 “한 번 오를 때 ‘팍팍’ 치고 올라가다 보니 가격의 상승 폭이 너무 크다”며 “투자를 통해 원베일리에 입성한 주민들은 시간의 문제일 뿐이지, 언젠가는 국민평형이 100억원까지 갈 거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원베일리 상가 모[앵커]메탄은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대표적 온실가스인데요,반추동물인 소 등이 트림이나 방귀로 배출하는 양이 상당합니다.이 때문에 소에게 인공합성 저감제를 써왔는데,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자연 미생물을 활용한 메탄 저감 방법을 찾았습니다.하준 기자입니다.[기자]오락가락하는 개화 시기, 장기화된 대형 산불 등 기후변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지구온난화.온실가스 중 메탄은 단기적으로 지구의 온도를 급격히 높혀 감축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유엔기후변화협약에선 오는 2030년까지 전 세계 메탄 배출량의 30% 감축을 목표로 '국제 메탄 서약'이 출범하기도 했습니다.<하준 기자> "특히 반추동물인 소가 트림, 방귀로 배출하는 메탄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37%를 차지합니다."그동안 메탄 저감을 위해 소에게 인공합성 저감제를 써왔는데,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자연 미생물을 활용한 메탄 저감 방법을 찾았습니다.소의 위에 서식하는 '메탄자화균'이라는 미생물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이를 섭취한 소는 하루 평균 메탄 배출량이 15%에서 최대 50%까지 감소했습니다.<김선원 / 경상국립대 생명과학부 교수> "사람들이 장 건강을 위해서 유산균이라는 것을, 프로바이오틱스를 먹는 것처럼 소에게 역시 소의 반추위의 건강을 올려주고 그리고 메탄도 줄이는 효과를 갖는 '메탄자화균 프로바이오틱스' 개념으로 개발하자…"기존 저감제는 메탄 생성 자체를 억제해 소의 소화작용을 방해하는 부작용이 있지만 미생물을 이용하면 이 부분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소의 몸속에 들어간 미생물은 메탄을 먹고 유익한 단백질로 전환돼 영양분 역할도 하게 됩니다.<김선원 / 경상국립대 생명과학부 교수>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그런 나쁜 온실가스를 추가적인 영양분으로 소에게 다시 제공해주는 자원의 선순환 효과라고 보시면 됩니다.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기후위기. 미생물이 온실가스 저감의 실질적인 대안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연합뉴스TV 하준입니다.[영상취재기자 김완기]화면제공 경상국립대·국립순천대#메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