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상주시 사벌국면에 조성된 상주 스마트팜 혁신밸리 토마토 온실에서 천장에 설치된 스크린으로 채광량을 조절하고 있다. 김정석 기자 지난 5월 20일 경북 상주시 사벌국면 엄암리. 평범한 시골길을 따라 달리다 보니 저 멀리 거대한 시설물들이 늘어서 있는 것이 보였다. 나지막한 야산과 이제 막 모내기 채비에 들어간 논, 오래돼 보이는 주택들만 간간이 보이던 풍경에서 갑자기 공장처럼 생긴 시설물들이 나타나자 낯선 느낌이 들었다. 이곳은 축구장 60개 정도 규모인 42.7㏊ 부지에 들어선 ‘상주 스마트팜 혁신밸리’다. 사업비 1738억원을 들여 2021년 준공한 이곳에서는 딸기와 토마토, 멜론, 오이 등 작물을 위주로 키우는 스마트팜이 줄지어 들어서 있다. 스마트팜 혁신밸리 부지 안으로 들어서니 우뚝 솟은 온실이 끝도 없이 늘어서 있었다. ━ ‘농사 문외한’서 전문농부로 교육 상주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매년 18~39세 사이의 청년 52명을 선발해 전문화된 창농 교육을 시키는 청년창업보육센터, 농업 관련 기술이나 기자재 실증을 진행하는 실증단지, 청년창업보육센터 수료생과 지역 농업인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임대형 스마트팜 등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토마토 농사를 짓고 있는 강태영(32)씨도 청년창업보육센터 교육생 중 한 명이다. 교육생으로 들어오기 전까지만 해도 농사와는 전혀 관련 없던 청년이었다. 강씨는 “도서관에서 사서로 근무를 하다가 농업에 흥미를 느껴 지원하게 됐다”고 말했다. 경북 상주시 사벌국면에 조성된 상주 스마트팜 혁신밸리 토마토 온실에서 교육생 강태영씨가 작물을 살펴보고 있다. 김정석 기자 강씨의 하루 일과는 토마토가 자라고 있는 온실이 아닌 ‘환경제어실’에서 시작된다. 환경제어실에 설치된 컴퓨터 화면에는 ‘외부환경 기상센서’가 있는데, 여기서 온실 안의 온도와 풍향, 풍속, 일사량(日射量), 내부 습도 등이 표시돼 있었다. 또 토마토 줄기가 연결된 배지(培地)는 토양 역할을 하는데, 스마트팜 설비가 배지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해 배지에 수분 함량이 얼마나 높은지를 파악한다. 강씨는 토마토 생육 단계를 고려해 최적의 조건을 환경제어실에서 만 ━ 여권, 민주화운동 유공자 확대 논란 민주화운동 유공자 범위가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여권은 4·19 혁명과 5·18 민주화운동으로 한정된 민주유공자 범위를 1987년 6월 민주화운동 등까지 확대하고, 대상자를 학사징계까지 포함하는 관련 법안을 잇달아 내놓거나 준비 중이다. 더불어민주당은 관련 법안에 대한 패스트트랙 지정을 검토하는 가운데,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도 지난달 9일 이한열 열사 38주기 추모식에 참석해 “힘이 닿는 한 민주유공자법 제정을 책임지고 관철하겠다”고 말했다. 이 법안들이 통과되면 현재 5432명인 민주유공자(4·19 혁명 887명, 5·18 민주화운동 4545명)는 최소 1148명이 더 늘어날 것으로 국회 정무위에선 추산했다. 현재 준비 중인 법안의 경우 민주화단체에선 9000여 명 이상 혜택을 본다고 말했다. 강준현·강득구·용혜인 등 범여권 의원들은 3일 민주유공자법 제정을 위한 토론회를 열고 “민주화운동이 무엇인지, 유공자 대상은 누구인지에 대한 국민적 합의가 이뤄졌다. 이제 의지만 남아있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선 민주당이 숙원이던 민주유공자 확대를 이번 집권을 계기로 관철할 것으로 본다. 전문가들은 “민주화운동의 가치는 중요하지만, 기준과 범위에 대해서는 폭넓은 논의와 공감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유신반대·부마항쟁·6월항쟁·전교조 관련자도 지정 추진 1987년 6월 민주화운동 당시 숨진 이한열 열사 장례식에서 서울시청 일대를 가득 메운 추도 인파. 민주당 등에서는 이에 관련된 인사들도 유공자로 지정해 예우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중앙포토] 전진숙 민주당 의원이 대표발의한 ‘5·18 민주유공자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개정안’은 “수배, 해직 또는 학사징계를 받은 사람도 5·18민주유공자로 예우받을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골자다. “현행법(4조)에서 5·18민주유공자의 적용 대상을 사망자, 행방불명자, 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