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로고

"Reading makes a complete man, communication makes a deceitful man, and composition makes a precision man."
MJ GLOBAL ACADEMY Communicates with Training

Q&A

7월2일 서울 성동구

onion

4

25-07-07 10:46

7월2일 서울 성동구 사회적협동조합 한강 사무실에서 한겨레와 인터뷰하는 김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규원 선임기자 “한강의 물은 수정처럼 맑았고, 그 부서지는 물방울 조각들은 티베트의 하늘처럼 푸른 하늘로부터 내리는 햇살에 반짝거렸다. (…) 무엇보다는 한강은 ‘금빛 모래의 강’이다”1894년 4월 작은 배를 타고 한강을 여행한 영국의 지리학자 이사벨라 버드 비숍은 한강을 이렇게 묘사했다. 그러나 130년이 지난 지금 서울 한강에서 이런 모습은 찾아보긴 거의 불가능하다. 그동안 한강에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한강이 과거의 아름다움과 건강함을 잃은 현대사와 그 원인을 밝힌 책 ‘한강, 1968’의 지은이 김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을 만났다. 지난 2일 서울 성동구 성수동 사회적협동조합 한강 사무실에서였다. 김 연구위원은 이날 이곳에서 북토크를 열었다.박정희 대통령 시절 한강 개발의 신호탄은 1967년 12월27일 기공된 여의도 윤중제(둘레둑) 공사였다. 그런데 김 연구위원은 책 이름을 ‘한강, 1968’이라고 했다. 왜 1967이 아니라 1968일까? “기공일은 1967년 말이지만, 실질적으로 공사는 1968년 2월10일 밤섬 폭파로 시작됐다.” 그날 김현옥 당시 서울시장은 밤섬 앞 백사장에서 의기양양한 표정으로 기념 사진을 찍었다. 그리고 김 시장은 골재로 쓰기 위해 한강 위의 보석 같았던 밤섬을 없애버리고 백사장 위에 7.6㎞의 둘레둑을 쌓아 현재의 여의도를 완성했다. 단 110일 만의 공사였다.밤섬에서 얻은 골재는 여의도 매립에 투입한 골재의 3.3%밖에 안 됐다. 그런데, 굳이 밤섬을 폭파해 없애버렸다. 지금 같으면 자연 유산으로 지정할 만한 아름다운 돌섬이었다. 김 연구위원은 “서울시 간부를 지낸 손정목 선생의 책 ‘서울 도시계획 이야기’를 보면, 여의도에 제방을 쌓아서 홍수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한강의 너비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라고 나온다. 아마 홍수 때 밤섬이 걸림돌이 된다고 생각한 것 같다”고 말했다.홍수를 막고 토지를 확보하기 위해 한강 주변이나 섬에 둑을 쌓는 일은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박정희·전두환 정부는 강가와 섬에 둑을 세우는 동시에 한강에서 엄청난 양의 준설을 했다. 왜 그랬을까? 김 연구위원은 “애초 한강 개발의 핵심은 골재 채취였다. 새 토지 확보 중고차를 점검 중인 엔카닷컴 (서울=뉴스1) 박기범 기자 = "중고차, 믿고 사셔도 됩니다."경기도 수원 권선구 고색동, 국내 최대 중고차 시장 인근의 한 건물. 수많은 차량이 오가는 가운데 스마트기기와 진단지를 손에 쥔 이들이 차량 내부를 샅샅이 점검하고 있었다. 이곳은 엔카닷컴 수원 고색 진단센터, 전국 60개 진단센터 중 하루 평균 가장 많은 차량을 검수하는 곳이다.지난 4일 엔카닷컴의 신규 입사자와 함께 이곳을 찾았다. 엔카닷컴은 중고차 시장에 표준화된 제도가 없던 2000년, 업계 최초로 중고차 진단 서비스를 도입하며 국내 중고차 진단 기준을 마련했다. 성능점검기록부가 법적으로 의무화되기 이전부터 선제적으로 시행된 서비스다.'엔카진단' 차량은 사고 이력, 옵션 유무, 차량 등급 등을 검수 인력이 전문 진단하고 직접 확인한 뒤 플랫폼에 등록된다. 차량 진단·검수는 전문가들이 직접 한다. 현재 전국에 200여 명의 전문가가 연간 40만 대의 차량을 점검한다.수원 고색 진단센터에는 12명의 전문가가 있다. 이들은 하루 210대, 월 4500대를 점검한다고 한다. 옆에서 지켜본 점검 과정은 꼼꼼하고 체계적이었다. 국토교통부, 보험개발원 DB와 연계해 차량 정보를 조회한 후 차량의 연식, 옵션 등 기존 정보와 차량 상태를 꼼꼼히 비교했다.차량의 상태를 보다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 전문가들은 직접 차량 곳곳을 손과 눈으로 확인했다. 이곳 관계자는 "차량 1대를 점검하는데 10~15분 정도 소요된다"고 설명했다. 차량 점검을 마치고 차량의 주요 특장점을 소개하는 짧은 글을 작성하고, 사진을 촬영하는 것도 이들의 몫이다.이 모든 과정이 끝나기 전, 엔카 자체 개발 AI 시스템이 차량 사진을 기반으로 등급, 옵션, 오류 등을 한 번 더 검수한다. AI는 약 1700개 모델을 99% 이상 정확도로 인식해 선루프·어라운드뷰·HUD 등 주요 옵션을 자동 분석한다. 모바일진단 AI(인공지능) 진단센터 옆 '직영 성능점검장'에서는 69개 법정 점검 항목을 기반으로 차량의 실제 성능 상태를 확인한다. 원동기, 변속기
List view
카카오톡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