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오전 광주 남구의 한 PC방에서 한 손님이 자리에서 전자담배를 태우는 모습. /임지섭 기자 ljs@namdonews.com "대체 왜 흡연 단속을 안 하죠? 버젓이 실내에서 피우는데요."8일 오전 광주 남구의 한 PC방.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불쾌한 담배 냄새가 코끝을 찔렀다. 흡연실이 따로 마련돼 있었지만, 한 손님은 별다른 제지 없이 일반 좌석에서 전자담배를 피우고 있었다. 현장에 있던 아르바이트생은 이를 방관했고, 입구에 붙은 '금연구역' 스티커는 무색하게 느껴졌다.손님 전모(30대)씨는 "담배 냄새 때문에 속이 울렁거린다. 특히 여름에는 창문도 열 수 없어 환기도 잘 안 된다"며 불쾌감을 드러냈다.PC방은 지난 2013년 7월 개정된 국민건강증진법에 따라 금연구역으로 지정돼 있다. 별도로 마련된 흡연실에서만 흡연이 가능하다. 일반 좌석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행위는 모두 단속 대상이다. 현장에서 적발될 경우 1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하지만 PC방 내 흡연 행위는 여전하다. 광주에서 최근 5년간(2021년~2025년 6월) 적발된 PC방 실내 흡연 건수는 368건에 달한다. 그러나 보건 당국은 이 수치를 '빙산의 일각'으로 보고 있다. 단속을 위해서는 공무원이 흡연 장면을 직접 목격하고, 흡연자의 얼굴이 식별 가능한 사진이나 영상을 확보해야만 과태료 부과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책상 위에 담배꽁초가 담긴 종이컵이 놓여 있어도 증거로 인정되지 않는다.제도적 허점도 문제다. 손님이 실내 흡연으로 적발되면 과태료가 부과되지만, 이를 방치한 업주는 처벌 대상이 아니다. '금연구역' 표시만 부착해두면 업주의 관리 책임은 면제된다. 흡연실 설치도 의무 사항이 아닌 선택 사항이다. 한 보건소 관계자는 "업주를 처벌할 방법이 없으니 자치구끼리 모여 대책 회의를 해도 넋두리만 하고 나온다"고 토로했다.단속 여건도 열악하다. 광주 내 등록된 PC방은 약 1천 곳에 달하지만, 이를 담당하는 금연지도원은 40여 명에 불과하다. 1명이 평균 25곳 이상▶마켓인사이트7월 8일 오후 5시 1분싱가포르에서 패밀리오피스가 직접 고용한 인력이 1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로펌이나 컨설팅, 금융회사 등 연관 업종의 고용 규모는 수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금융자산만 100만달러 이상 보유한 자산가가 최근 10년 사이 10만 명 가까이 늘어난 결과다.8일 싱가포르통화청(MAS)에 따르면 싱가포르 내 패밀리오피스는 지난해 말 2000개를 넘어섰다. UBS는 최근 글로벌 패밀리오피스 관련 리포트에서 패밀리오피스 한 곳당 평균 5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싱가포르 정부는 자본이득세를 면제받기 위해서는 패밀리오피스 설립자의 국적에 따라 최소 2~3명의 투자 전문가를 고용하도록 의무화했다.패밀리오피스를 세우려는 글로벌 자산가가 싱가포르에 몰리며 현지 금융산업 발전을 이끌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영국 컨설팅업체 헨리앤드파트너스의 집계에 따르면 싱가포르에서 금융자산 100만달러 이상인 고액 자산가는 2014년 14만9600명에서 지난해 24만2400명으로 불어났다.패밀리오피스 키운 싱가포르…"월급 1000만원 일자리 수만개 창출"상속·증여세 등 면제혜택 주고, 현지 투자·기부 유도해 '선순환'▶마켓인사이트7월 8일 오후 5시 1분싱가포르는 최근 10년간 자산가 유치 경쟁에서 미국 뉴욕과 영국 런던 등 글로벌 금융 중심지를 앞지르고 있다. 영국의 컨설팅업체 헨리앤드파트너스가 지난 4월 내놓은 ‘가장 부유한 50대 도시 2025’에 따르면 싱가포르 내 고액 자산가는 2014년 14만9600명에서 지난해 24만2400명으로 62% 급증했다. 투자 가능 유동자산을 100만달러 이상 보유한 자산가 기준이다. 미국 뉴욕(45%)을 가볍게 제쳤다. 반면 홍콩의 고액 자산가는 10년간 3% 증가하는 데 그쳤다. 영국 런던은 브렉시트 등의 영향으로 12% 급감했다.◇ 세금 대신 고용 할당싱가포르에 슈퍼리치가 많아진 건 패밀리오피스를 적극적으로 유치한 결과다. 이를 통해 싱가포르가 직접적으로 얻는 것은 별로 없다. 상속·증여세를 면제하는 것은